-
[전시회 리뷰] 완벽한 좌뇌의 휴식 " 빛의 벙커: 클림트 "Review/Arts 2019. 7. 9. 10:40SMALL
제주도에 내려온 이후, 왠만한 박물관이나 미술관은 다 방문해서
더 즐길 수 있는 문화 생활이 없을 것 같은데
그래도 종종 열리는 전시회가 생각보다 많아서 제주 생활을 만족하고 있다 ㅋㅋ
잊을만하면 하나씩 열리기도 하지만
제주도에 있으면 10분이면 갈 수 있는 바닷가나 오름 등이 많이 있어서
정신적으로 지친다거나 하는 일은 서울보다 적은 것 같다.
(그래서 문화적인 수요도 적어지는듯..??)이번에는 클림트 작품으로 구성된 빛의 벙커라는 미디어 아트 전시회에 다녀왔다.
클림트는 당대 최고의 화가이며, 에곤쉴레를 더 좋아하는 나에게는
에곤쉴레의 스승이란 이유로 더욱 더 존경하게 되었다 ㅎㅎ
(기회를 주었다는 것 만으로도!!)
이번 빛의 벙커 전시회는 아미엑스라는 독특한 미디어 아트인데
Art & Music Immersive EXperience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이전에 제주 부영호텔에서 열렸던 반 고흐 인사이드와 비슷한 미디어 아트같지만
반 고흐 인사이드에서는 아미엑스라는 단어를 쓰진 않았던 것 같다.
빛의 벙커는 프랑스의 채석장에서 전시가 시작된 빛의 채석장을 시작된 시리즈로
빛의 아틀리에 다음으로 열린 전시회다.
기간이 정해져 있는 전시회라 비교적 여유로운 지금 다녀왔다 ㅋㅋ
빛의 벙커 입구 빛의 벙커는 성산에 있는 벙커를 개조해서 만들어졌고
이 벙커는 원래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던 해저 광케이블 관리 시설이었다고 한다.
전시회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벙커 내부 전체가 작품으로 덮여있어
작품에 압도되는 기분을 느꼈다..!
입구쪽에 벙커가 뚫려있는 구조가 있는데
그 입구에서 바라본 내부 모습의 구도가 멋있어서
사진을 찍어봤다 ㅎㅎ
입구쪽 구조를 통해 바라본 내부 벙커 내부가 온통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웅장한 음악과 함께 그림들의 객체 하나하나가 움직이며 아우라를 뿜어냈다.
내부 구조는 꽤나 단순했지만
수 많은 작품들의 구성이 다양해 지루하지 않았다.
클림트 클림트의 작품 뿐만 아니라, 훈데르트 바서, 에곤쉴레 등 오스트리아 작가들의 작품들도
다양하게 전시되어 있었다.
특히, 나는 전시 중 클림트편이 시작될 때 단조로운 흑백의 이미지에서
짙은 색깔로 점차 물들어가는 표현을 보고 정말 감동했다.
음악, 움직임 하나하나가 작품의 표현과 해석을 역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 같아
미디어 아트라는 장르에 새로운 감동이 생겼다.
전시를 보는 중간 중간 작품의 객체 하나 하나를 어떻게 따냈을까.. 좌표 표현은 어떻게 했지..
이런 잡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ㅋㅋㅋㅋㅋ
한 공간에 자리잡고 작품을 감상할 때는 아무 생각없이 푹 빠져들어
한 부분도 놓치지 않으려 노력했다.
이런 점에서 나는 이번 빛의 벙커: 클림트 전의 느낌을 한 마디로 요약하라면
"완벽한 좌뇌의 휴식" 이라 표현하고 싶다.
(아무 생각없이 몰두해 작품을 감상했다.)
에곤 쉴레 예술이 정적인 작품에서 동적인 작품으로 표현되었을 때
새로운 감동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많이 느꼈다.
하지만, 사람을 예술 그 자체가 아닌 규모와 음악으로 압도시켜버리는 점은
원래 클래식한 예술의 특징을 지워버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미디어 아트가 전시되어있는 전시회에서
모두들 스마트폰으로 그 작품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을 보니 (나 또한 그랬지만..)
뭔가 아이러닉한 기분이 들었고..
전시회 감상을 마치고 나오면서 미디어 아트는 미디어를 위한 예술인가.. 하는
여러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물론 전시를 볼 때는 몰입해서 보고
그 후 비판적인 생각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이 전시회는 매우 만족스럽고 훌륭한 전시회라고 생각되었다 ㅎㅎ
예술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이런 경험들이 쌓여
나만의 주관이 뚜렷해지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하나를 남기고
글을 마치도록 하겠다.
LIST댓글